About Us
Our Lab
Awards
Location
Members
Professor
Researchers
Students
Research Areas
Research Methods
Design Domains
Research Output
Papers
Conf. Talks
Projects
R&D 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ews & Events
Updates
Articles
UX Library
About Us
Our Lab
Awards
Location
Members
Professor
Researchers
Students
Research Areas
Research Methods
Design Domains
Research Output
Papers
Conf. Talks
Projects
R&D 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ews & Events
Updates
Articles
UX Library
통합 검색
통합 검색
Beyond the Lab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글로벌 시야 확장의 출발점으로서 연구실 경험, HIDE Lab 8기 김정민 학부연구원 후기
안녕하세요.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 김정민입니다.저는 학부 과정에서 배운 디자인 지식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싶다는 열망을 늘 가지고 있었습니다. 단순히 교과서와 강의 속에서 개념적으로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지식을 현실의 문제 해결에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지를 탐구하고 싶었습니다. 특히 제품디자이너로서 단순한 아이디어 스케치나 개념적인 발상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구현 가능한 형태로 발전시키는 과정에 깊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경험이야말로 디자이너로 성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HIDE Lab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이곳에서의 시간은 단순한 학문적 성장을 넘어, 실무적 태도와 협업의 가치를 배우는 매우 귀중한 경험이 되었습니다.연구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전공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협업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엔지니어링을 전공한 학생들, 디자인의 다른 세부 분야를 전공한 학생
hide
2025.09.11
조회수21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들의 연구실 이야기 (작성 예정)
.
hide
2025.08.25
조회수67
엔씨소프트 AI콘텐츠팀 인턴 선발, HIDE Lab 7기 서단영 학부연구원 후기 (작성 예정)
.
hide
2025.08.25
조회수59
디자인과 기술, 그 사이에서 길을 찾은 미국 대학원 진학기, HIDE Lab 신주민 외부참여연구원
베를린에서 USC까지, 포용적 디자인을 향한 여정안녕하세요. 홍익대학교 디자인컨버전스학부를 졸업한 신주민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제가 준비한 미국 대학원 진학 과정과 그 여정에서의 고민과 선택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히 디자인, 기술, 사용자 경험에 관심 있는 분들께 실질적인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저는 학부 시절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와 소프트웨어 기반 협업을 경험하며 UX(User Experience),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그리고 기술 기반 사회 문제 해결에 꾸준한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2022년 여름 독일 베를린에서의 교환학생 경험은 제 진로에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과 함께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기술을 통해 다문화 환경에서도 누구나 접근 가능한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보다 심도 있는 학문적 연구를 위해 미국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대학원 지원
hide
2025.07.29
조회수200
퍼시스그룹 R&D 시디즈(SIDIZ) 제품디자인 직무 인턴 선발, HIDE Lab 8기 장윤아 학부연구원 후기
안녕하세요.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 장윤아입니다. 모베드 산학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연구실의 사용자 중심 문제 해결 방식을 처음 접한 뒤, “왜 이 디자인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명확히 답할 수 있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어 연구실 학부연구원에 지원서를 냈고, 그 선택은 지난 5개월간 제 디자인 인생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정부과제인 에브리봇 툴킷 제작, 글로우원 산업용 조명 프로젝트, 삼성전자 산학 프로젝트 등 실무 기반 과제를 빠듯한 일정 속에서 연달아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데스크 리서치와 현장 관찰로부터 출발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검증하는 전 과정을 몸소 체득했습니다. 특히 에브리봇 툴킷 과제에서는 로봇 제작의 필수 요소를 사용자 경험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모듈형 툴킷으로 구체화하는 방법을 익혔고, 글로우원 프로젝트에서는 GPT를 활용해 요구사항을 AI 이미지 생성 과정에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직접 설계하며
hide
2025.07.09
조회수204
1
2
3
글쓰기
글로벌 시야 확장의 출발점으로서 연구실 경험, HIDE Lab 8기 김정민 학부연구원 후기
안녕하세요.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 김정민입니다.저는 학부 과정에서 배운 디자인 지식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싶다는 열망을 늘 가지고 있었습니다. 단순히 교과서와 강의 속에서 개념적으로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지식을 현실의 문제 해결에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지를 탐구하고 싶었습니다. 특히 제품디자이너로서 단순한 아이디어 스케치나 개념적인 발상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구현 가능한 형태로 발전시키는 과정에 깊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경험이야말로 디자이너로 성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HIDE Lab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이곳에서의 시간은 단순한 학문적 성장을 넘어, 실무적 태도와 협업의 가치를 배우는 매우 귀중한 경험이 되었습니다.연구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전공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협업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엔지니어링을 전공한 학생들, 디자인의 다른 세부 분야를 전공한 학생
HIDE(hide)
2025.09.11
조회수 21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들의 연구실 이야기 (작성 예정)
.
HIDE(hide)
2025.08.25
조회수 67
엔씨소프트 AI콘텐츠팀 인턴 선발, HIDE Lab 7기 서단영 학부연구원 후기 (작성 예정)
.
HIDE(hide)
2025.08.25
조회수 59
디자인과 기술, 그 사이에서 길을 찾은 미국 대학원 진학기, HIDE Lab 신주민 외부참여연구원
베를린에서 USC까지, 포용적 디자인을 향한 여정안녕하세요. 홍익대학교 디자인컨버전스학부를 졸업한 신주민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제가 준비한 미국 대학원 진학 과정과 그 여정에서의 고민과 선택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히 디자인, 기술, 사용자 경험에 관심 있는 분들께 실질적인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저는 학부 시절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와 소프트웨어 기반 협업을 경험하며 UX(User Experience),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그리고 기술 기반 사회 문제 해결에 꾸준한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2022년 여름 독일 베를린에서의 교환학생 경험은 제 진로에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과 함께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기술을 통해 다문화 환경에서도 누구나 접근 가능한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보다 심도 있는 학문적 연구를 위해 미국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대학원 지원
HIDE(hide)
2025.07.29
조회수 200
퍼시스그룹 R&D 시디즈(SIDIZ) 제품디자인 직무 인턴 선발, HIDE Lab 8기 장윤아 학부연구원 후기
안녕하세요.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 장윤아입니다. 모베드 산학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연구실의 사용자 중심 문제 해결 방식을 처음 접한 뒤, “왜 이 디자인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명확히 답할 수 있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어 연구실 학부연구원에 지원서를 냈고, 그 선택은 지난 5개월간 제 디자인 인생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정부과제인 에브리봇 툴킷 제작, 글로우원 산업용 조명 프로젝트, 삼성전자 산학 프로젝트 등 실무 기반 과제를 빠듯한 일정 속에서 연달아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데스크 리서치와 현장 관찰로부터 출발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검증하는 전 과정을 몸소 체득했습니다. 특히 에브리봇 툴킷 과제에서는 로봇 제작의 필수 요소를 사용자 경험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모듈형 툴킷으로 구체화하는 방법을 익혔고, 글로우원 프로젝트에서는 GPT를 활용해 요구사항을 AI 이미지 생성 과정에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직접 설계하며
HIDE(hide)
2025.07.09
조회수 204
더보기
글쓰기